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후 변화와 그 요인

by 윱첸 2022. 10. 26.
반응형

climate change

기후 변화와 그 요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에는 지구 외적 요인과 지구 내적 요인이 있습니다. 

먼저 지구 외적 요인들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지구 외적 요인의 첫 번쨰는 태양 활동의 변화가 있습니다. 태양 흑점 수의 변화에 따라 태양 복사 에너지양의 변화로 인해 기후가 변할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빙하기로 알려진 시기는 태양의 흑점 수가 적었던 시기와 일치합니다.

두 번째 외적 요인은 지극 자전축 경사각의 변화입니다. 지국 자전축의 경사각은 약 4만 년을 주기로 변합니다. 자전축의 경사각이 커지면 중위도와 고위도 지방의 여름은 더 더워지고 겨울은 더 추워져 기온의 연교차가 커집니다. 자전축의 경사각이 커질수록 태양의 남중고도 차이가 증가하여 기온의 연교차가 커집니다. 

외적 요인 중 세 번째로는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입니다. 이심률은 어떤 천체가 다른 천체 주위를 공전할 때 그 궤도가 얼마나 찌그러져잇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심률이 0이면 완벽한 원형 궤도를 이루고 0~1이면 타원형 궤도이며 이심률의 값이 1이면 포물선 궤도를 그립니다. 지구의 공전궤도 이심률 값은 0.0005~0.058 사이에서 10만 년을 주기로 변합니다. 공전 궤도 이심률이 커질수록 북반구는 원일점에서 지구와 태양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여름철 기온은 현재보다 조금 낮아지고 근일점에서 지구와 태양의 거리가 더 가까워지기 때문에 겨울철 기온은 현재보다 조금 높아지게 되어 연교차가 작아집니다. 

다음은 내적 요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내적 요인의 첫 번째는 화산 활동입니다. 대규모 화산 분출은 많은 양의 화산재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지구의 반사율을 증가시킵니다. 이로 인해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줄어들어 지구의 평균 기온이 낮아집니다. 

내적 요인의 두번 째는 지표의 변화입니다. 빙하 면적이 감소하면 지표면이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증가하여 지구의 기온이 상승합니다. 또한 대륙과 해양의 분포 변화로 대기의 순환과 에너지의 출입에 영향을 주어 기후가 변화합니다. 

 

기후 변화의 인위적 요인

기후 변화의 인위적 요인에는 온실 기체 배출이 있습니다. 화석 연료 연소 등으로 배출된 온실 기체는 지구의 온도를 높입니다.

또 인위적 요인은 사람 훼손과 도시화입니다. 이 또한 지표면의 반사율을 변화시켜 기후가 변합니다. 

인간에 의한 기후 변화들 

인간에 의한 기후 변화에는 첫 번째로 온실 효과가 있습니다. 지구 대기는 지구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에너지를 잘 투과시킵니다. 하지만 지표에서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는 대부분을 흡수하였다가 다시 복사하여 지표 온도를 높이는데 이 현상을 온실 효과라고 합니다.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를 온실 기체라고 합니다. 온실 기체의 예로는 수증기, 이산화 탄소, 메테인, 산화 이질소 등이 있습니다. 

인간에 의한 기후 변화에는 지구 온난화도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는 대기 중의 온실 기체의 양이 많아져 지구의 평균 기온이 점차 상승하는 현상을 지구 온난화라고 합니다.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산업 혁명 이후 인위적인 인간 활동의 결과인 화석 연료의 사용량 증가 및 삼림 훼손의 증가로 인해 이산화 탄소와 같은 온실 기체가 대기 중으로 다량 배출되었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지구 온난화가 유발되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에는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가고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해안의 저지대가 침수됩니다. 또한 증발량 증가로 강수량이 증가하여 홍수가 나타나는 지역이 생기기도하고 지역에 따라서는 가뭄이 심한 경우가 나타납니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세계적으로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 예로는 1992년 유엔 기후 변화 협약을 체결하여 선진국과 개발 도상 국가 능력에 맞게 온실 기체를 감축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습니다. 1997년 교토 의정서 채택을 통해 온실 기체 배출량을 5.2% 감축하였습니다. 2015년 파리 협정 채택을 통해 2100년까지 지구 평균 기온 상승 폭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