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과 질병의 공격을 방어하는 우리 몸의 방어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질병과 질병의 구분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에는 감염으로 나타나는 감염성 질병과 병원체의 감염 없이 나타나는 비감염성 질병이 있습니다.
먼저, 비감염성 질병은 병원체의 감염 없이 방생하는 질병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비감염성 질병은 환경, 생활 양식, 유전 등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알레르기, 대사성 질병(당뇨병, 고혈압, 뇌졸중) 유전병(혈우병 등)이 있습니다.
감염성 질병은 병원체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다른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병원체가 숙주로 침입하는 경로에는 호흡기, 곤충, 신체적 접촉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결핵, 폐렴, 말라리아, 무좀, 등이 있습니다.
병원체의 구조
병원체는 생물구조와 비생물적 구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생물 구조에는 단세포 생물 병원체가 있습니다. 막으로 싸인 소기관과 핵막이 없는 것을 세균이라고 합니다. 막으로 싸인 소기관과 핵막이 있으면 원생생물로 구분합니다.
병원체의 비생물적 구조에는 바이러스와 변형 프라이온이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유전 물질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변형 프라이온은 단백질 입자이고 유전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병원체에 의한 질병
세균에 의한 질병에는 결핵, 폐렴, 콜레라, 파상풍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세균에 의한 치료는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에는 감기, 독감, AIDS, 소아마비, 홍역, 천연두 등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에 의한 치료는 항바이러스제가 있습니다.
원생샐물에 의한 질병에는 말라리아, 수면병이 있습니다.
변형된 프라이온에 의한 질병에는 광오병,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스크래피 등이 있습니다.
방어작용
방어 작용이란 우리 몸에 병원체가 침입할 때 병원체를 인식하고 대항하는 작용입니다. 면역이라고도 부릅니다.
방어작용의 종류
방어 작용의 종류에는 비특이적 방어 작용과 특이적 방어 작용이 있습니다.
먼저, 비특이적 방어 작용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적인 방어 작용을 의미합니다. 병원체에 감염된 즉시 작용하여 신속하게 반응이 일어납니다. 병원체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비특이적 방어 작용이라고 부릅니다. 특이적 방어 작용이 이어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병원체 감염 초기에는 비특이적 방어작용이 우리 몸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특이적 방어작용에 예로는 피부, 점막, 분비액, 식균작용, 염증 작용이 있습니다. 피부는 병원체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물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의 산성 성분은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킵니다. 점막은 내벽을 덮는 점액으로 덮여 있습니다. 기관과 기관지에서 먼지와 병원체는 점막 주변의 운동으로 바깥으로 내보내집니다. 분비액은 땀, 눈물 등이 있습니다. 땀, 눈물 등은 세균을 분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식균 작용은 백혈구가 병원체를 자신에게 끌어들여 분해하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염증 반응은 피부나 점막이 손상되어 병원체가 침입하면 열, 통증이 나타나는 염증 반응이 일어납니다. 염증은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한 방어 작용입니다.
특이적 방어 작용은 체내에 침입한 항원의 종류를 인식하여 선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백혈구의 일종인 림프구가 관여하여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으로 구분합니다. 특이적 방어 작용의 첫 단계는 어떤 항원이 침입했는지를 알아내는 것입니다. 백혈구 중에서 대식세포는 식균작용이 활발한 세포입니다. 체내에 항원이 침입하면 대식세포는 그 항원을 서포 안으로 끌어들여 분해한 후 항원 조각을 세포 표면에 제시합니다. 대식세포가 항원 조각을 제시하면 주변에 있는 보조 T 림프구와 B 림프구를 활성화시켜 특이적 방어 작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특이적 면역작용 중 세포성 면역은 활성화된 세포독성 T 림프구가 감염된 세포를 직접 파괴하는 방식입니다. 체액성 면역은 B 림프구가 분화하여 생성된 형질 세포에서 항체를 생성하고 분비하여 항원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댓글